속도 |
알고리즘 |
설명 |
해시 크기 |
아주 빠름
|
CRC-32
|
Cyclic Redundancy Check 방식 중의 하나이며 CRC32 다항식을 사용하여 검증 코드를 추출하고, 주로 데이터 전송 또는 저장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등을 감지 또는 검증하는데 사용되는 알고리즘
|
8바이트
|
느림
|
MD-2
|
MD는 Message Digest의 약자이며 8비트 컴퓨터에 최적화 되어 있는 메시지 다이제스트 알고리즘
|
16바이트
|
아주 빠름
|
MD-4
|
MD-2를 32비트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해시 알고리즘
|
16바이트
|
아주 빠름
|
MD-5
|
MD-4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고, 주로 전자서명, 응용 프로그램 등 정보보호를 목적으로 개발한 해시 알고리즘
|
16바이트
|
보통
|
SHA-1
|
SHA는 Secure Hash Algorithm의 약자이며, MD-4 및 MD-5 해시 함수와 비슷한 방식으로 임의의 길이의 입력데이터를 160비트의 출력데이터로 바꾸는 해시 알고리즘
|
20바이트
|
보통
|
SHA-256
|
어떤 길이의 값을 입력하더라도 256비트의 고정된 결과값을 출력하며, 블록체인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는 해시 알고리즘
|
32바이트
|
보통
|
SHA-384
|
SHA-1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알고리즘 중의 하나이며 384비트(48바이트)의 해시 값을 생성하는 해시 알고리즘
|
48바이트
|
보통
|
SHA-512
|
SHA-1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알고리즘 중의 하나이며 512비트(64바이트)의 해시 값을 생성하는 해시 알고리즘
|
64바이트
|
보통
|
HAS-160
|
국내 표준 전자서명 알고리즘인 KCDSA에 사용되는 임의의 입력값을 160비트(20바이트)의 해시값으로 변환하는 암호학적 해시 알고리즘
|
20바이트
|